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참여형축제사진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대구시 축제기록 사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rticipatory Archive Model: Daegu Festival Photograph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9, v.19 no.3, pp.49-70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3.049
김자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최상희 (대구가톨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축제 기록은 축제를 통해 생산된 ‘역사 기록’과 ‘문화 기록’으로서 가치 있는 중요한 기록이다. 그러나 많은 축제기록들이 효과적으로 관리되지 못하여 소멸되고 있고 특히 이용자가 생산한 사진기록은 개인 SNS로 분산되어 있어 기록으로서 관리되고 있지 못하다. 이 연구에서는 축제기록과 SNS기록의 특성을 살펴보고, Facebook, Instagram, Twitter 등의 SNS에서 이용자가 올린 대구지역의 축제 사진을 대상으로 참여형축제사진아카이브를 구축하였다. 또한 참여형축제사진아카이브 구축과정을 통해 축제사진아카이브에 적용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이용자가 생산한 사진을 수집하여 기관이 구축하는 형태의 참여형사진아카이브 모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SNS records, Festival records, OMEKA, Open-source metadata, 참여형 아카이브, SNS 기록, 축제 기록, 오메카, 오픈소스 메타데이터

Abstract

Festival records are valuable social records, not only historically but also culturally. Even though festival records are worthy of preservation, many of them are not managed appropriately. In particular, photographs taken by the public are dispersed in various SNS services such as Facebook, Instagram, and Twitter. This study collected festival photographs, taken by the public, from these SNS services and built a participatory archive for Daegu. As such, this study identified and suggested a metadata set through the process of archiving festival photograph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model of the participatory archive for festival photographs. This model illustrated the institute’s collection of festival photographs in the SNS services and the creation of the participatory archive.

keywords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SNS records, Festival records, OMEKA, Open-source metadata, 참여형 아카이브, SNS 기록, 축제 기록, 오메카, 오픈소스 메타데이터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