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 구술사 연구 동향 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of Oral History in Korea: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8, v.18 no.3, pp.25-47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3.025
이재영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1991년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국내 구술사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구술사를 둘러싼 연구 지형을 파악하고 향후 구술사 연구의 방향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구술사로 키워드 검색을 시행하여 1991년부터 2018년까지 이루어진 국내 구술사 연구 논문 총 439건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시기별로 연구 논문 생산량과 주요 학술지, 연구자 및 연구 재원, 연구 분야 및 연구 내용, 국제 협력으로 구분하여 국내 구술사 연구 동향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정리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Oral history, Korea, research trends, major journals, content analysis, 구술사, 한국, 연구 동향, 주요 학술지, 내용 분석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oral history research in Korea from 1991 to the pres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future direction of oral history research. For these purposes, 439 research articles of domestic oral history researchers from 1991 to 2018 were retrieved by keyword search from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ystem (RISS) in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oral history were analyzed by the volume of periodical research papers, major journals, authors and research funds, research fields and research content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were summarized, and direction for follow-up research was provided.

keywords
Oral history, Korea, research trends, major journals, content analysis, 구술사, 한국, 연구 동향, 주요 학술지, 내용 분석

참고문헌

1.

강숙희. (2013). 국내 학위논문을 통해서 본 생애사 연구의 최근 동향. 교육연구, 28(1), 1-22.

2.

권미현. (2007). 강제동원 구술자료의 관리와 활용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소장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6), 305-341.

3.

권형택. (2016). <구술에세이>한국 민주화운동을 도운 사람들 - 일본지역 민주인사 구술사업 수행기. 구술사연구, 7(1), 189-225.

4.

김경학. (2001). 인도 구술사 연구의 동향과 그 전망 - 인도 서브얼턴 연구를 중심으로. 인도연구, 6(2), 155-186.

5.

김귀옥. (1999). 정착촌 월남인의 생활경험과 정체성 : 속초 ‘아바이마을’과 김제 '용지농원’을 중심으로.

6.

김귀옥. (2005). 구술사 연구현황과 구술사 아카이브즈의 구축 (143-164). 2005 한국기록학회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7.

김귀옥. (2006). 한국 구술사 연구 현황, 쟁점과 과제.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71), 313-348.

8.

김귀옥. 한국사 발전을 위한 구술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9.

김귀옥. (2013). 냉전적 이산과 탈냉전적 공존의 전망: 교토(京都) 재일코리안의 구술을 중심으로.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99), 121-157.

10.

김귀옥. (2014). 구술사 연구: 방법과 실천:한울 아카데미.

11.

김귀옥. (2016). 한국 현대사 연구에서 구술사 연구의 탄생과 역할, 과제. 구술사연구, 7(2), 11-44.

12.

김명훈. (2010). 디지털 구술기록의 생산 및 정리·보존 절차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7-29.

13.

김명훈. (2013). 구술기록 온라인 서비스 수립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36), 153-193.

14.

김봉중. (2001). 미국 구술사의 동향과 쟁점: 미국 역사학의 변천 과정 속에서. 역사학연구, 16, 186-216.

15.

김용의. (2002). 일본 구술사 연구의 동향과 쟁점. 日本語文學, (12), 201-220.

16.

김은영. (2012). 구술기록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정리방안 연구 ― 논리적 정리를 중심으로 ―. 아시아문화연구, 25, 229-257. http://dx.doi.org/10.34252/acsri.2012.25..009.

17.

김태우. (2015). 한국전쟁 연구 동향의 변화와 과제, 1950~2015. 韓國史學史學報, (32), 325-364.

18.

박기동. (2011). 중국 구술사의 연구동향 -체육구술사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사학회지, 16(2), 83-92.

19.

배은희. (2018). 지역 구술기록의 생산과 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2), 85-108. http://dx.doi.org/10.14404/JKSARM.2018.18.2.085.

20.

백승욱. (2007). 현 시기 평가에 작용하는 중국 노동자의 문화대혁명의 기억. 경제와 사회, (76), 39-69.

21.

선영란. (2006). 구술기록의 기록학적 관리 방안.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2.

손동유. (2013). 체계적인 구술기록 생산을 위한 제언.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1), 135-158.

23.

손미경. (2016). 재일코리안 연구에 있어서 1차 자료수집 의의와 향후 방향성 - ‘재일코리안 가정에 잠들어 있는 역사자료 발굴 캠페인’을 중심으로 -. 글로벌문화콘텐츠, (24), 129-155.

24.

송연옥. (2015). 재일조선인 여성의 삶에서 본 일본 구술사 연구 현황. 구술사연구, 6(2), 197-220.

25.

송충기. (2013). 경험의 역사로서 독일 구술사:역사비평.

26.

신규환. (2013). 최근 한국의학사 연구에서 구술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 의사학, 22(2), 421-448. http://dx.doi.org/10.13081/kjmh.2013.22.421.

27.

염미경. (2001). 전쟁연구와 구술사: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연구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 동향과 전망, 51, 219-237.

28.

왕루이. (2017). 중국 동창부(東昌府) 연화(年畵)의 현황조사 - 동창연화박물관 현장조사 및 지역연화 전문가의 구술을 통한 고찰 (241-252). 한국디자인포럼.

29.

윤택림. (2010).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아르케.

30.

윤택림. (2010). 여성은 스스로 말 할 수 있는가: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의 쟁점과 방법론적 논의. 여성학논집, 27(2), 77-111. http://dx.doi.org/10.18341/wsr.2010.27.2.77.

31.

윤택림. 왜 구술사인가.

32.

윤택림. (2015). 기관구술채록의 진단과 과제: 국사편찬위원회 구술채록사업을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6(1), 11-43.

33.

윤택림. (2016). 구술사와 역사학의 어색한 관계: 그 성과와 전망. 구술사연구, 7(2), 45-84.

34.

이성숙. (2006). 서구 여성구술사 현황과 쟁점. 여성과 역사, (5), 1-24.

35.

이용기. (2002). 구술사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위한 제언:역사비평.

36.

이용기. (2009). 역사학, 구술사를 만나다 ― 역사학자의 관점에서 본 구술사의 현황과 과제 ―. 역사와 현실, (71), 291-319.

37.

이인경. (2016). 여성 패럴림피언들의 삶과 스포츠: 홀로서기와 유리벽. 구술사연구, 7(2), 87-132.

38.

이정연. (2009). 구술사 기록물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모델링 및 표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1), 163-184.

39.

이정연. (2011). 여성구술생애기록물 맥락 표현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조화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0), 57-88.

40.

정계향. (2016). 경계인(境界人)의 뿌리 찾기: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 2세의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7(1), 97-136.

41.

정연경. (2017). 구술 아카이브 시스템의 구축과 활용:아르케.

42.

정혜경. (2015). 구술사-기록에서 역사로-. 韓日民族問題硏究, (28), 229-262.

43.

조용성. (2010). 구술기록의 수집과 아카이브 정책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5), 233-278.

44.

증숙민. (2015). 대만 구술역사의 성과 및 현황. 구술사연구, 6(2), 179-196.

45.

천호준. (2014).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화를 위한 사례연구. 기록학연구, (42), 37-71.

46.

최경숙. (1995). 직장암환자의 질병경험 : 구술사적 접근을 통한 사례연구.

47.

최윤경. (2014). 한국 근대 여성 구술 기록물을 통한 시소러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1), 7-24.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1.007.

48.

최정은. (2011). 사회적 기억과 구술 기록화 그리고 아키비스트. 기록학연구, (30), 3-55.

49.

최정은. (2012). 기록학계의 구술사 연구에 관한 몇 가지 단상. 구술사연구, 3(1), 143-160.

50.

한봉석. (2011). Korean American 1.5세의 독도수호운동과 한인민족주의의 변화: 워싱턴 디씨 지역을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2(2), 55-96.

51.

한신갑. (2017). 생애사 연구의 자료기반 확장: 생애사 시간표를 활용한 구술 생애사 자료의 조직 및 분석. 조사연구, 18(2), 99-136. http://dx.doi.org/10.20997/SR.18.2.4.

52.

함한희. (2000). 구술사와 문화연구. 한국문화인류학, 33(1), 3-25.

53.

함한희. (2010). 증언, 생활사, 구술사: 기억의 구술과 역사 4․3의 경험과 재일제주인, 그리고 한국현대사. 4․3과 역사, 9-10, 7-36.

54.

허영란. (2013). 한국 구술사의 현황과 대안적 역사쓰기:역사비평.

55.

Kim, Seong Nae. (1989). Chronicle of violence, ritual of mourning: Cheju shamanism in Korea.

56.

Yoo, Chul In. (1993). Life histories of two Korean women who marry American GIs.

57.

Yoon, Taek-Lim. (1992). Koreans' stories about themselves: an ethnographic history of Hermit Pond Village in South Korea.

58.

다문화가족지원법 (법률 제8937호).

59.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http://archive.history.go.kr/.

60.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 https://www.kci.go.kr/kciportal/main.kci.

61.

Center for Oral History Research. http://oralhistory.library.ucla.edu/.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