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전통시장의 장소성 기록화를 위한 구성요소 제언

Suggestions for Archiving Elements for Placeness of Traditional Market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8, v.18 no.2, pp.61-83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2.061
박은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성신 (경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전통시장이 갖는 경제적, 대중적, 행정적, 역사․문화적 기능을 중심으로 전통시장의 장소성을 드러낼 수 있는 유․무형 관련 자료의 기록화를 위한 구성요소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조사와 서울약령시 스토리 아카이브, 광주 대안예술시장 아카이브 프로젝트 D, 대구 북성로 공구 박물관의 기록화 사례를 조사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물리적 환경, 사회적 요소, 경험/인물요소를 전통시장의 장소성 구성요소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통시장의 대중적 기능, 역사, 문화적 기능, 경제적 기능, 행정적 기능을 중심으로 전통시장의 장소성을 드러낼 수 있는 구체적 기록화 구성요소들을 제시하였다.

keywords
traditional markets, place, placeness, markets’ functions, archiving elements, 전통시장, 장소성, 장소성 요소, 시장 기능, 기록화 요소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pecific elements for archiving tangible and intangible materials based on popular, administr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functions of traditional markets. Related literature was thus reviewed and the cases of Seoul Yangnyeongsi Story Archive, Gwangju Dae-An Yesul Market Archive Project D, and Daegu Bukseong-Ro Gongu Museum were analyz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elements of physical environments, social factors, experience, and people were defined as the placeness of traditional market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specific elements to archive traditional markets were thus suggested.

keywords
traditional markets, place, placeness, markets’ functions, archiving elements, 전통시장, 장소성, 장소성 요소, 시장 기능, 기록화 요소

참고문헌

1.

권순명. (2009).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1), 41-84.

2.

김성훈. (2006). 한국의 정기시장: 5일시장의 구조와 기능:한국농촌경제연구원.

3.

박세훈. (2010). 조선족의 공간집적과 지역정체성의 정치- 구로구 가리봉동 사례연구. 다문화사회연구, 3(2), 71-101. http://dx.doi.org/10.15685/jms.2010.08.3.2.71.

4.

백선혜. (2004).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 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를 사례로.

5.

백승혜. (2011). 도시개발지역의 기록화 방안 연구.

6.

서울약령시스토리아카. http://www.yakstory.com/.

7.

설문원. (2011).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07-230.

8.

설문원. (2012).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37-455.

9.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

10.

설문원. (2013). 공간 중심의 연계형 기록화의 실행 방안 : 부산지역 동해남부선을 사례로. 기록학연구, (36), 233-269.

1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전통시장 통통. http://www.sijangtong.or.kr.

12.

어정연. (2010). 장소개념에서의 장소가치에 대한 논의. 국토계획, 45(6), 21-34.

13.

여진원. (2015). 도시 기록화 구성요소 도출을 위한 실험적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575-598. http://dx.doi.org/10.16981/kliss.46.4.201512.575.

14.

이보옥. (2013). 골목의 장소성 재현을 위한 기록화 방안.

15.

이석환. (1997).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2(5), 169-184.

16.

이용선. (2007). 정기시장의 구조와 기능 변화 연구:한국농촌경제연구원.

17.

한국외국어대학교 기록학연구센터. (2015). 구술기록관리 방법론 연구:도서출판 디로드.

18.

Cox, Richard J.. (1996). Documenting Localities: A Practical Model of American Archivists and Manuscripts Curators:Scarecrow Press.

20.

Lukermann, F.. (1964). Geography at a formal intellectual discipline and the way in which it contributes to human knowledge. Canadian Geography, 8(4), 167-172.

21.

Relph, Edward. (2005). 장소와 장소상실:논형.

22.

Steele, Fritz. (1981). The Sense of Place:CBI Publishing Company.

23.

Tuan, Yi Fu. (2007). 공간과 장소:대윤.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