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차세대 기록관리시스템 재설계 모형 연구

A Study on Designing a Next-Generation Records Management System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8, v.18 no.2, pp.163-188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2.163
오진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알엠소프트 기록연구소)
임진희 (서울특별시 정보공개정책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차세대 기록관리시스템은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급변하는 시스템 개발 환경하에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은 지난 10여 년간 답보 상태로 머물러 있었다. 이런 이유에는 사용자 요구사항 수용, 기록관리 신기술 적용을 하기 어렵게 만들어진 기록관리시스템 구조적 문제가 핵심 원인이라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기록관리 현황 분석을 통한 차세대 기록관리시스템 재설계 모형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격인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프로세스 재설계 연구(주현미, 임진희, 2017)’ 결과와 선진 기록관리시스템의 기록관리 기술과 해외 시스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록관리시스템 개선방향을 기능적 측면, 소프트웨어 설계 측면, 소프트웨어 배포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기록관리기관 유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기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SS) 지향의 기록관리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차세대 기록관리의 지향점이라고 제안한다.

keywords
records management system, record system, MSA(microservice architecture), BagIt, workflow, OSSs(open source software), 기록관리시스템, 기록시스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패키징, 워크플로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Abstract

How do we create a next generation Records Management System? Under a rapidly changing system development environment,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has remained stable for the past 10 years. For this reason, it seems to be the key cause of the structural problem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commodate user requirements and apply a new recording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edesigned model for a next-generation records management system by analyzing the status of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A Study on the Redesign of the Next-Generati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rocess,” records management technology of advanced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a case of an overseas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was analyzed from several aspects: functional, software design, and software distribution. This study thus suggests that the creation of a microservice architecture-based(MSA) and an open source software-oriented (OSS) records management system should be the focus of next-generation record management.

keywords
records management system, record system, MSA(microservice architecture), BagIt, workflow, OSSs(open source software), 기록관리시스템, 기록시스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패키징, 워크플로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참고문헌

1.

곽정. (2006). 행정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 개선모델 분석 - 2006년 기록관리시스템 혁신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4), 153-190.

2.

국가기록원. 기록관리혁신 실무매뉴얼.

3.

국가기록원. (2006). 기록관리 혁신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국가기록원.

4.

국가기록원. 기록관리시스템으로의 전환지침서.

5.

국가기록원. (2010). 2010년 국가기록 백서:국가기록원.

6.

국가기록원. (2015). 2014년 국가기록 백서:국가기록원.

7.

국가기록원. (2017). 2016년 국가기록 백서:국가기록원.

8.

김장환. (2015). 국회기록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2), 103-136. http://dx.doi.org/10.14404/JKSARM.2015.15.2.103.

9.

박민영. (2013). 표준기록관리시스템 기능 평가 : 접근관리 기능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8), 3-35.

10.

박병권. (2007). 공공기관 기록관리시스템의 워크플로우 적용방안 연구.

11.

박석훈. 대통령기록관리 시스템의 구축.

12.

박종연. (2013).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의 인수 기능 평가 : 연계인수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7), 239-271.

13.

서울시. (2016). 서울기록원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용역. 서울특별시.

14.

송병호. (2009). 기록관리시스템의 현황과 전망. 기록학연구, 21, 385-411.

15.

안대진. (2016).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공개 소프트웨어 활용방안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3(3), 345-370.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3.345.

16.

오세라. (2016). 공개포맷에 기반한 전자기록 보존 포맷 재설계 방향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4), 79-120.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4.079.

17.

오진관. (2017). 정부산하공공기관의분류체계관리시스템 기능 설계 연구. 기록학연구, (53), 201-228.

18.

이경남. (2013). 표준 기록관리시스템 검색 기능 평가. 기록학연구, (37), 273-305.

19.

이보람. (2013). 표준기록관리시스템 평가·폐기 기능 평가. 기록학연구, (38), 37-73.

20.

이소연. (2015).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활용현황 연구. 기록학연구, (43), 71-102.

21.

이소연. (2015).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개선전략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1), 29-52. http://dx.doi.org/10.14404/JKSARM.2015.15.1.029.

22.

이승억. (2017). 차세대 전자기록관리체계 재설계를 위한 방안 모색 (-). 기록정책포럼 발표문.

23.

임진희. (2013). 전자기록관리시스템: 전자기록을 생산․관리하는 정보시스템은 어떻게 만들어져야 하는가?:아세아문화사.

24.

임진희. 전자기록관리시스템 재설계 모형.

25.

정부기록보존소. 자료관시스템 개요 및 기능.

26.

정상희. (2013).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의 ‘기준관리’ 기능 및 이용 평가. 기록학연구, (37), 189-237.

27.

주현미. (2017).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프로세스 재설계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4), 201-223. http://dx.doi.org/10.14404/JKSARM.2017.17.4.201.

28.

현문수. (2013).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의 전자기록 보존 기능 평가 연구 - 문서보존포맷변환 기능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115-147.

29.

황진현. (2013). 공공기관의 생산현황통보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7), 145-188.

30.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http://www.archives.go.kr.

31.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홈페이지. http://www.tta.or.kr/data/weeklyNoticeView.jsp?pk_num=5193.

32.

Archivematica 홈페이지. http://archivematica.org.

34.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2844호).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