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ntology Design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8, v.18 no.1, pp.101-127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1.101
박옥남 (상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연구데이터의 연구의 정확성이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정보적 가치, 연구의 재현 또는 검증, 재사용 가능성을 연구데이터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강조되고 있다. 표준 메타데이터는 연구데이터 생산, 관리, 구조화, 기탁된 데이터 추출에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연구데이터는 연구, 연구데이터, 데이터셋, 파일 등 다양한 계층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인용 및 연구성과 등의 엔터티와 연계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온톨로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NTIS 사례를 제시하여 연구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데이터 관련 선행연구, 메타데이터 표준의 분석, 연구데이터 리포지터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keywords
연구데이터, 온톨로지, 메타데이터, DDI, DataCite, DCAT, 데이터관리, research data, ontology, metadata, DDI, DataCite, DCAT, data management

Abstract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research data is vital because it increases research data’s value for research reproduction, verification, and reusability. Standard metadata will play a key role in research data registration, management, and data extraction. Research data has various structural relationships, such as research, research data, data sets, and files, and associated with entities such as citations and research results. The study proposes an ontology model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It also suggests the application of ontology to NTIS. Previous studies, metadata standard analyses, and research data repository case studies were conducted.

keywords
연구데이터, 온톨로지, 메타데이터, DDI, DataCite, DCAT, 데이터관리, research data, ontology, metadata, DDI, DataCite, DCAT, data management

참고문헌

1.

강희종. (2012). 21세기 핵심자원, 국가과학데이터 활용을 위한 정책과제. .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서랍 속 연구데이터 함께 쓰는 빅데이터로 새롭게 거듭난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6208.

3.

김선태. (2010). 과학데이터 보존 및 활용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81-93.

4.

김순. (2017). 오픈 사이언스 시대를 위한 과학기술 연구지원 서비스 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4(3), 229-249. http://dx.doi.org/10.3743/KOSIM.2017.34.3.229.

5.

김은정. (2012). 연구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9(2), 27-44.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2.027.

6.

김지현. (2012). 대학 내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433-455. http://dx.doi.org/10.16981/kliss.43.3.201209.433.

7.

김지현. (2016). 연구데이터 레포지터리의 데이터 접근 및 이용 통제 정책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3), 213-239. http://dx.doi.org/10.16981/kliss.47.3.201609.213.

8.

박희진. (2015). IPAM 모형을 적용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온톨로지 설계.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99-123. http://dx.doi.org/10.14404/JKSARM.2015.15.4.099.

9.

심원식. (2015). 국가 차원의 연구데이터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로드맵 제안 - 영국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4), 355-378. http://dx.doi.org/10.4275/KSLIS.2015.49.4.355.

10.

심원식. (2015).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의 수집 및 활용성 증진을 위한 전략 연구 - 기초학문자료센터를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155-183. http://dx.doi.org/10.4275/KSLIS.2015.49.3.155.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성과물등록포털. http://rpall.ntis.go.kr.

12.

Data Documentation Initiative. https://www.ddialliance.org/explore-documentation.

15.

Dryad Digital Repository. http://datadryad.org.

16.

Dublin Core Metadata Initative. http://dublincore.org.

17.

Harvard Dataverse. https://dataverse.harvard.edu/.

18.

Inter-Consortium for Political and Social Research Data Archive. http://www.icpsr.umich.edu/icpsrweb/ICPSR/index.jsp.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