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프로세스 재설계 연구

A Study on the Redesign of the Next-Generati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roces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7, v.17 no.4, pp.201-223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4.201
주현미 (명지대학교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임진희 (정보인권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제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인한 신기술의 도입과 클라우드 업무환경으로의 변화 등의 기록관리 외부환경의 변화로 인해 기록의 생산 및 관리 환경의 변화가 예상되나 현재의 법제와 시스템 등이 이러한 외부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다. 기록관리 프로세스, 시스템, 인프라 영역의 제문제가 서로 얽혀있어 부분적인 개편으로는 외부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 이에 전면적인 재설계가 필요하며 이러한 전면적 개편을 ‘차세대 전자기록관리’로 명명하고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전자기록관리 프로세스를 재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주요한 이슈들과 개선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keywords
4차 산업혁명,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전자기록관리 프로세스, 데이터형 전자기록,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xt-generati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electronic records process, data-type electronic records

Abstract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is a result of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hange from management environment to cloud environment. Changes in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environments are expected because of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However, responding flexibly to changes is not enough. The problem of the records management process, system, and infrastructure is intertwined, and partial reorganization is difficult to cope with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fore, we need to redesign the whole process and study the major issues to be considered so we could redesign the process and produce an improved next-generati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keywords
4차 산업혁명,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전자기록관리 프로세스, 데이터형 전자기록,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xt-generati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electronic records process, data-type electronic records

참고문헌

1.

국가기록원. (2009). 전자기록물 장기보존을 위한 애뮬레이션 전략 연구 결과보고서. .

2.

김명훈. (2013). 전자기록 장기보존 전략으로서의 에뮬레이션 사례 분석. 기록학연구, (38), 265-309.

3.

김유승. (2014). 기록으로의 공공데이터 관리를 위한 제도적 고찰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1), 53-73.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1.053.

4.

서울특별시. (2016). 서울기록원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용역 완료보고서. .

5.

설문원. (2006). 공공업무의체계적 기록화를 위한 보유일정표 설계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199-219.

6.

설문원. (2013). 기록분류를 위한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적용 구조 및 운용 분석-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23-51.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3.24.4.023.

7.

송주형. (2014). 기록관리 대상으로서 SNS 연구. 기록학연구, (39), 101-139.

8.

안대진. (2016).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공개 소프트웨어 활용방안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3(3), 345-370.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3.345.

9.

오세라. (2016). 공개포맷에 기반한 전자기록 보존 포맷 재설계 방향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4), 79-120.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4.079.

10.

왕호성. (2017).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3), 23-47. http://dx.doi.org/10.14404/JKSARM.2017.17.3.023.

11.

이수진. (2013). 소송기록의 사안파일 특성 연구- 대한법률구조공단의 소송기록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7-39. http://dx.doi.org/10.14404/JKSARM.2013.13.3.007.

12.

이승억. (2017). 전자기록관리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2), 5-37.

13.

임진희. (2013). 전자기록관리론:선인.

14.

조은희. (2009).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선별 기준 및 절차 연구. 기록학연구, (19), 251-291.

15.

주현미. (2017).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재설계 과제 연구. 기록학연구, (54), 151-178.

16.

KS X ISO 16175-3, 문헌정보-전자사무환경에서 기록에 대한 원리 및 기능요건-제3부 : 업무시스템의 기록관리지침 및 기능요건.

17.

European Commission. MoReq2 (Model Requirements Specification for the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18.

EDRM. (2011). WhitePaper EDRM Information Governance Referen-ce Model IGRM and ARMAs GARP Principl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