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for Records Centers in the Local Governments: Based on Seoul Metropolitan City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7, v.17 no.1, pp.31-49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1.031
정하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한승희 (서울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25개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을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수준과 인식수준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현황조사를 통해 5개 요인과 31개 문항으로 구성된 평가 지표를 도출하였고, 주 이용자인 소속 기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의 서비스 품질은 전반적으로 기대수준이 인식수준보다 높아 실제 서비스가 이용자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정적 품질에 기초하여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기록관 서비스, 서비스 품질 평가, 기대수준, 인식수준, 사분면 분석법, records centers in the local governments, service of records center, evaluation of the service quality, expectation level, perception level, quadrant analysi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xpectation level and perception level of service quality in 25 records centers in local governments based in Seoul. For this, an evaluation index consisting of 5 factors and 31 items i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n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us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service quality of the records centers in the local governments as the expectation level is higher than the perception level,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can be substantial in attempt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the service quality of the records centers in local governments and in proposing an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process quality.

keywords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기록관 서비스, 서비스 품질 평가, 기대수준, 인식수준, 사분면 분석법, records centers in the local governments, service of records center, evaluation of the service quality, expectation level, perception level, quadrant analysis

참고문헌

1.

강혜원. (2013).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를 위한 기능분류체계 운영실태 연구.

2.

고종희. (2010). 서울특별시 산하 기초자치단체 기록물관리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3.

김유진. (2015). 지방자치단체의 기록관리기준표 공통 개발 방안 연구: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4.

박성애. (2007). 지방자치단체의 기록물 관리실태와 개선방안.

5.

서향희. (2014). 지방자치단체의 정보공개제도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6.

안지현. (2015). 기록관 예산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7.

양혜영. (2011). SERVQUAL 평가모형을 적용한 기록관 서비스의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8.

유사라. (2015). 문헌정보학의 측정과 분석:한국도서관협회.

9.

윤지은. (2015). 기관위임사무에 대한 지자체 기록관리기준표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10.

임미경. (2010). 기초자치단체 기록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11.

전상식. (2014). 기록관리기준표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 6대광역시의 대기능 '문화재보존정책'을 중심으로.

12.

정우철. (2016). 대학기록관 이용자의 기록정보서비스 평가.

13.

한수연. (2011). 기록물관리기관 서비스 품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14.

허덕행. (2014). 기록정보서비스의 평가 지표에 관한 연구.

15.

황재영. (2007). 디지털도서관의 e-서비스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55-79.

16.

Cronin, J. J. Jr.. (1992).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6(3), 55-68.

17.

Grönroos, C.. (1984).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marketing implication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8(4), 36-44.

18.

Parasuraman, A.. (1988). SERVQUAL :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19.

Peter Hernon. (2001). 도서관 서비스 품질 관리론: 고객만족을 위한 도서관 경영:한국도서관협회.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