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No Gun Ri Record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Memory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6, v.16 no.2, pp.57-79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2.057
윤은하 (전북대학교)
김유승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노근리 학살사건 기록들이 사회적 기억을 담지하는 과정을 살피고, 그 특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한 이론 연구로서 사회적 기록의 특징을 분석한다. 사회적 기록은 첫째, 의도적으로 구성된 사회 구성물로 개인의 기억에 영향을 미치고, 둘째, 기억의 가변성을 반영하며, 셋째, 다양한 측면에서 하나의 사건을 증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저자는 노근리 사건의 기억과 기록의 분석을 위해 노근리 사건의 개요를 정리하고, 제1기 반기억의 시기, 제2기 기억 투쟁의 시기, 제3기 공식기억의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기억과 기록의 변화과정과 특징 및 내용을 연대기적으로 살펴보았다. 제1기 구술 및 개인 소장 기록 등의 암묵적 기록, 제2기 대책위활동, 입법활동, 조사활동을 중심으로 한 기록, 제3기 특별법과 평화공원 건립 및 운영 관련 공식 기록이 각각 주로 생산되었다. 제3기는 다양한 사회 주체들이 노근리 사건을 기억하기 위해 생산한 다양한 문화기록들로 기록의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cords, No Gun Ri massacre, counter-memory, social memory, archival social records, 기록, 노근리 학살사건, 반기억, 사회적 기억, 아카이브 사회적 기록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how the No Gun Ri massacre records are incorporated in social memory. As a theoretical study, it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cords. First, they are social products that have an influence on personal memory. Second, they reflect variability of memory. Third, they can be used in proving an event. To analyze the memory and records of the No Gun Ri massacre, this study overviews the outline of the killings and divides it into three eras: countermemory era, memory struggle era, and formal memory era. Furthermore, this study reviews the trans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era. The representative records produced in each era are as follows: oral, and personal records in the first period; records related to committee activities, legislative activities, and research activities in the second period; and official records on the special law, an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peace park in the third period. The third period shows the scalability of the records through a variety of cultural records production to remember the No Gun Ri incident.

keywords
records, No Gun Ri massacre, counter-memory, social memory, archival social records, 기록, 노근리 학살사건, 반기억, 사회적 기억, 아카이브 사회적 기록

참고문헌

1.

강정구. (2000).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학살의 실태 (3-22).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심포지움 : 전쟁과 인권 -학살의 세기를 넘어서.

2.

김기곤. (2009). 국가폭력, 하나의 사건과 두 가지 재현 —거창사건의 기억과 문화적 재현과정—. 민주주의와 인권, 9(1), 27-63.

3.

김찬규. (1999). 노근리 사건과 시제법. 국제법평론, 12, 85-89.

4.

김태우. (2011). 영화 < 작은 연못 > 을 통해 본 한국전쟁 다시 쓰기. 작가세계, 87(겨울), 393-406.

5.

김학이. (2005).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서양사연구, 33, 227-258.

6.

김형곤. (2007). 한국전쟁의 공식기억과 전쟁기념관. 한국언론정보학보, 40(4), -.

7.

김형곤. (2011). 역사교과서와 한국전쟁 사진의 변화.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1(6), 176-184.

8.

민경길. (2001). 전시 민간인 보호에 관한 국제법규 연구 : 노근리 사건을 중심으로. 인도법논총, 21, 109-148.

9.

방선주. (2000). 한국전쟁 당시 북한 자료로 본 ‘ 노근리 ’ 사건. 정신문화연구, 79, 19-47.

10.

손경호. (2011). 최근 한국전쟁 연구동향 ―2005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56), 202-226.

11.

신동희. (2016). 기억을 위한 아키비스트 - 기록과 기억의 이론적 고찰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41-59.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1.041.

12.

안병직. (2007). 한국사회에서의 ‘기억’과 ‘역사’. 역사학보, (193), 275-306.

13.

알라이다 아스만. (2011). 기억의 공간 :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 변천:그린비.

14.

오영호. (2002). 노근리사건 조사 및 교섭결과 분석 ; 양면게임논리의 관점에서.

15.

이만열. (2000). 노근리사건의 진상과 그 성격 (1-20). 국회인권포럼 제 9 회 정책심포지움 : 노근리사건 진상규명과 해결 방향에 관한 심포지움.

16.

이재곤. (1999). 전시 민간인 보호를 위한 국제법적 규제 : 한국전쟁 시 소위 ‘ 충북,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 민간인 살상사건 ’ 과 관련하여. 충남대 법학연구, 10(1), 111-136.

17.

이환준. (2001). 노근리 사건의 眞相과 敎訓. 軍史, 42, 185-220.

18.

전진성. (2003). 기억과 역사: 새로운 역사ㆍ문화이론의 정립을 위하여. 韓國史學史學報, (8), 101-140.

19.

정구도. (2006). 피해자들의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 활동. 노근리사건희생자심사 및 명예회복 위원회.

20.

정진성. (2001). 인권의 관점에서 본 노근리 사건의 재해석. 민주주의와 인권, 1(1), 139-171.

21.

정진성. (2001). 인권침해 문제로서의 노근리 사건 (23-44). 국회인권포럼 제 9 회 정책심포지움 : 노근리 사건진상규명과 해결 방향에 관한 심포지움.

22.

조시현. (2001). 노근리 학살사건과 국제인도법. 성신법학, , 65-106.

23.

최득진. (2000). 한국전쟁 중 미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사건. 법정논총, 49, 12-40.

24.

최병수. (2000). 노근리 학살사건에 관한 몇 가지 검토 : 6 ․ 25 동란 초기 충북영동지구의 민간인 상해사건에 관한 연구Ⅱ. 人文學誌, 19(1), 261-283.

25.

최병수. (1999). 동란 초기 충북 영동지구의 민간인 살상사건에 관한 연구(1) : 老斤里의 美軍對良民 集團殺傷事件을 중심으로. 人文學誌, 17(1), 245-283.

26.

현용수. (2003). 노근리사건의 진상과 교육:두남.

27.

Aleida, Assmann. (2009). Erinnerungsraume : Fromen und Wandlungen des kulturellen Gedachunisses:C.H. Beck oHG.

28.

Anderson, Kimberly. (2013). The Footprint and the Stepping Foot : Archival Records, Evidence, and Time. Archival Science, 13(4), 349-371.

29.

Bastian, Jeannette. (2013). The Records of Memory, the archives of identlty : celebrations, texts and archival sensibilities. Archival Science, 13, 121-131.

30.

Blouin, Francis X. (1999). Archivists, Mediation, and Constructs of Social Memory. Archival Issues, 24(2), 101-112.

31.

Booth, Christopher. (2000). Prosecuting the ‘Fog of War?’ Examining the Legal Implications of an Alleged Massacre of South Korean Civilians by U. S. Forces During the Opening Days of the Korean War in the Village of No Gun Ri. Vanderbilt Journal of Transnational Law, 33(4), 933-986.

32.

Caswell, Michelle.. (2015). False Promise and New Hope : Dead Perpetrators, Imagined Documents and Emergent Archival Evidence. Journal of Human Rights, 19(5), 615-629.

33.

Cook, Terry. (2013). Evidence, Memory, Identity, and Community : Four Shifting Archival Paradigms. Archival Science, 13(2), 95-120.

34.

Davis, Natalie Zemon. (1999). Historical Perspectives on Memory:Suomen Historiallinen Seura.

35.

Halbwachs, M.. (1922). On Collective Memory. Edited, translated, and with an introduction by Lewis A. Coser: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Hanley, Charles J.. (2000). The Bridge at No Gun Ri : Investigative Reporting, Hidden History, and Pulitzer Prize. Harv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5(4), 112-117.

37.

Hutton, P. H.. (1993). History as an Art of Memory:University of Vermont.

38.

Kim, Choon. (2004). Forgotten War, Forgotten Massacre : The Korean War(1950-1953)as Licensed Mass Killings. Journal of Genocide Research, 6(4), 523-544.

39.

Oh, Yeon-ho. (2000). Do You Know Our Agony? Massacre of Villagers by the U. S. Soldiers During the Korean War. Asian Solidarity Quarterly, 2, 80-90.

40.

Ollia, Anne. (1999). Historical Perspectives on Memory:Suomen Historiallinen Seura.

41.

Schuit, Stephen. (2000). First Person : The Grapes of No Gun Ri. The Humanist, 60(4), 45-47.

42.

Schwartz, Joan.. (2002). Archives, Records, and Power : The Making of Modern Memory. Archival Science, 2(1), 1-19.

43.

Sinn, Donghee. (2007). Records and Understanding of Violent Event: Archival Documentation, Historical Perception and the Nogunri Massacre in the Korean War.

44.

Verne, Harris. (2002). The Archival Sliver : Power, Memory, and Archives in South Africa. Archival Science, 2(1), 63-86.

45.

White, Kelvin L.. (2009). Meztizaje and RememberinginAfro-Mexican! Communities of the Costa Chica : Implications for Archival Education in Mexico. Archival Science, 9(2), 43-55.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