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Geranial, Cineol, Menthol과 편백의 유효성분을 조성물로 하는 손소독제 연구

Study of a Hand Sanitizer Composed of Active Ingredients Geranial, Cineol, Menthol, and Chamaecyparis obtusa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6, v.16 no.2, pp.173-183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2.173
김기현 (주식회사 비엠에스티)
최석찬 (주식회사 비엠에스티, 용인대학교 문화재학과)
유연강 (주식회사 비엠에스티, 경상대학교 미생물학과)
이수진 (주식회사 비엠에스티)
박운규 (대전대학교 임상병리학과)
황석연 (대전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수장고 및 서고에서 곰팡이는 문화재와 기록물의 생물학적 열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 또한, 독소를 생성하고 피부알레르기를 유발하여 유물과 기록물 및 도서를 다루는 근무자의 호흡기질환과 피부질환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근무자의 피부 및 손에 접촉되어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손소독제는 일반세균에 대하여 소독효과를 보이지만, 곰팡이에는 소독효과가 떨어져 이에 대한 대체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손소독제 조성물로 친환경적인 Geranial, Cineol, Menthol과 편백(Chamaecyparis obtusa)의 유효성분으로 하는 손소독제를 연구․개발하여 박물관 및 기록관의 서고에서 조사된 곰팡이 10종(Alternaria citrimacularis, Alternaria consortiali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versicolor, Cladosporium sphaerospermum, Coniothyrium aleuritis, Penicillium brevicompactum, Penicillium corylophilum, Penicillium paneum, Penicillium polonicum)에 대하여 소독효과를 시험한 결과, 우수한 소독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Geranial, Cineol, Menthol과 편백의 유효성분을 조성물로 하는 손소독제의 개발로 문화재와 기록물 및 도서를 다루는 근무자의 피부질환과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ntifungal, hand sanitizer, cultural properties, archives, disinfection, 항진균효과, 손소독제, 문화재, 기록물, 소독

Abstract

Fungi are a major cause of cultural and biological degradation in museum storages and archives libraries. In addition, fungi produce toxins and can cause skin allergies. In particular, fungi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kin through the hands of administrators dealing with cultural properties, archives, and books can lead to secondary infections. To prevent this, applying hand sanitizer, which is readily available in the market, is recommended. However, such hand sanitizer can effectively disinfect against bacteria but not fungi. As such, researching for an alternative is requir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hand sanitizer composed of active ingredients―geranial, cineol, menthol, and Chamaecyparis obtusa― and performed a disinfection test, which targets 10 kinds of species (Alternaria citrimacularis, Alternaria consortiali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versicolor, Cladosporium sphaerospermum, Coniothyrium aleurites, Penicillium brevicompactum, Penicillium corylophilum, Penicillium paneum, and Penicillium polonicum), of fungi investigated in museums and libraries. It was then confirmed to exhibit excellent disinfecting effects. Thus, this hand sanitizer is expected to prevent skin diseases and secondary infections in administrators dealing with cultural properties, archives, and books.

keywords
antifungal, hand sanitizer, cultural properties, archives, disinfection, 항진균효과, 손소독제, 문화재, 기록물, 소독

참고문헌

1.

김용순. (1996). 수술실 내에서 손씻기 시간과 소독제에 따른살균효과 비교. 감염 학회지, 28(1), 41-49.

2.

김윤신. (2006). 동산문화재 보존환경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3.

김준명. (1997). 1996 년도 국내 병원 감염률 조사연구. 병원 감염 관리학회지, 2(2), 157-176.

4.

노환성. (1993).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살균효과. The Ulsan University Medical Journal, 2, 71-75.

5.

박종남. (2004). 병원감염 예방을 위한 외과적 손씻기 시간과 소독제에 따른 소독효과.

6.

여희란. (2011). 천연물을 이용한 손소독제 개발.

7.

정인숙. (1998). 반지 착용이 손씻기 후의 미생물 수와 유형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5, 143-154.

8.

정재심. (2002). 물 없이 사용하는 알코올 젤의 손 소독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4(2), 127-137.

9.

조충환. (1995). 외과 분야 수술에서의 수술 장갑 천공의 빈도. 외과학회지, 49(4), 556-560.

10.

AORN. Standards recommended practices & guidelines : Standards recommended practices for surgical hand scrubs.

11.

Bischoff, W. E.. (2000). Handwashing compliance by health care workers : The impact of introducing an accessible, alcohol-based hand antiseptic. Arch intern Med, 160, 1017-1021.

12.

Bulus, N.. (2004). Comparison of antibacterial effects of different antiseptics after hand washing. Microbiyol, 38(1-2), 137-143.

13.

Conly, J. M.. (1989). Handwashing practice in and intensive care unit :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program and its relationship to infection rates. Am J Infect Control, 17, 350-359.

14.

Furukawa, K.. (2004). A new surgical handwashing and hand antisepsis from scrubbing to rubbing. J Nippon Med, 71(3), 190-197.

15.

Gamer, J. S.. (1986). Guideline for prevention of surgical wound infection. Am J of Infect Cont, 14(2), 71-80.

16.

Graham, M.. (1990). Frequency and duration of handwashing in an intensive care unit. Am J Infect Control, 18, 77-80.

17.

Kramer, A.. (2002). Limited efficacy of alcohol-based hand gels. Lancet, 27, 1489-1490.

18.

Larson, E. L.. (1990). Alcohol for surgical scrubbing. Infect Cont, 23(4), 251-269.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