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성적 소수자 기록물 기술요소 설계에 관한 연구 - 한국 퀴어 아카이브 ‘퀴어락(Queerarch)’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of Archival Description Elements for Sexual Minorities Archives: Focus on the Korean Queer Archives “Queerarch”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6, v.16 no.2, pp.113-142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2.113
최민희 (전북대학교)
박지영 (전북대학교)
오효정 (전북대학교)
김용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기록으로 남기려는 민간 공동체 아카이브 구축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이에 성적 소수자들의 기록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퀴어 아카이브인 ‘퀴어락(Queerarch)’을 중심으로 기록물 구축현황을 알아보고 퀴어기록의 특성과 퀴어락 기술요소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퀴어락 기술요소의 문제점으로 제시된 집합적 기술과 다계층 기술의 부재, 퀴어 기록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ISAD(G), MAD, RAD 등의 기술규칙을 참고하여 새로운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keywords
메타데이터, 기술요소, 성적 소수자, 퀴어 아카이브, 퀴어락, 사회적 약자, metadata, description elements, sexual minorities, queer archives, Queerarch, social minorities

Abstract

With the increase in private and community archives to record various different shapes and forms of societies, the establishment of archives for social minorities has heightened. In line with these changes,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queer archives “Queerarch,” which focus on records and archives on sexual minor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archives of Queerarch, and grasp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er archives and the problems of archival description elements. The current archival description elements used in Queerarch do not fu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er archives and the multilayer description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d a metadata schema that includes archival description elements that are based on archival description standards such as the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ISAD (G)), Manual of Archival Description (MAD),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RAD), and others.

keywords
메타데이터, 기술요소, 성적 소수자, 퀴어 아카이브, 퀴어락, 사회적 약자, metadata, description elements, sexual minorities, queer archives, Queerarch, social minorities

참고문헌

1.

김민지. (2014). 대학기록관 박물의 통합검색을 위한 기술 요소의 선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2), 7-30.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2.007.

2.

김진성. (2011). 영화 기록의 기술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0), 89-123.

3.

남영준. (2010). 시청각기록물의 기술요소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67-80.

4.

박진희. (2005). 특수형태 기록물 관리를 위한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241-263.

5.

설문원. (2004). 행정기관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요소 분석 - ISO 15489를 기준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1), 217-242.

6.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7.

윤은하. (2014). 축제기록물의 통합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1), 25-51.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1.025.

8.

이경남. (2006). 전자기록의 장기적 보존을 위한 보존메타데이터 요소 분석. 기록학연구, (14), 191-240.

9.

이해영. (2013). 기록조직론:선인.

10.

임진희. (2013). 전자기록관리론:선인.

11.

정옥경. (2009). 목록조직의 이해:태일사.

12.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역사비평사.

13.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2011). 퀴어의 기억이 기록이 되다 : 퀴어락 구축 스토리: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14.

현문수. (2013). 민간․공동체 아카이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술정보 공유 방향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27-150. http://dx.doi.org/10.14404/JKSARM.2013.13.3.127.

15.

홍설아. (2014). 성적 소수자 아카이브 구축 모형 연구.

16.

Canadian Committee on Archival Description. (2008).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Bureau of Canadian Archivists.

17.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2000). ISAD(G) :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Committed on Descriptive Standards.

18.

Millar, L. A.. (2015). 아카이브 원리와 실제:가람.

19.

Procter, Margaret. (2000). Manual of archival description:Gower.

20.

퀴어락. (2009). 소장자료. http://www.queerarchive.org/.

21.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2002). LGBT, Queer. 성적소수자사전. http://kscrc.org/bbs/zboard.php?id=press_dictionary.

22.

USC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NE Archives at the USC Libraries. http://www.clga.ca/.

23.

Ontario Trillium Foundation. Canadian Lesbian and Gay Archives (CLGA). http://www.clga.ca/.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