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기업 기록경영 도입을 위한 구성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Factor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anagement for Records in Public Enterpris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6, v.16 no.2, pp.1-28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2.001
박용기 (한국광물자원공사)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공공기관에는 공공성과 함께 기업성을 보유하는 공기업이 포함되어 있으나 공공기관 기록관리에 필요한 제도나 정책수립에 공기업의 특성을 반영하는 노력이 부족하다. ISO는 기록관리 표준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패밀리 구조의 기록경영시스템 표준인 ISO 30300을 개발하였고 국내에서도 이를 산업표준으로 받아들였다. 이는 기록관리가 실무차원에서 벗어나 경영적 차원에서 추진될 수 있는 표준 체계가 마련된 것이며, 기록관리 인증제 도입을 예고하는 것이다. 이에 공기업의 특성과 기록경영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공기업이 기록경영 도입을 위해 필요한 기록경영 구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 기록관리 평가체계에 공기업 기록경영 요소를 반영할 것과 공기업이 기록경영 도입을 위해 필요한 요건을 제안하였다.

keywords
public enterprise, records management, records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index, 공기업, 기록관리, 기록경영, 기록경영 구성 요소,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평가지표

Abstract

A public enterprise is part of the public sector, and public enterprises possess entrepreneurship.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a public enterprise have not been reflected i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2011, the ISO 30300 Series, a records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This indicates a more comprehensive management approach with regard to records management. Moreover, an introduc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of the ISO 30300 Series is expected.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enterprises an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records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analyzes the factors for its introduction. It also suggests an improved evaluation index and the requirements for public records management.

keywords
public enterprise, records management, records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index, 공기업, 기록관리, 기록경영, 기록경영 구성 요소,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평가지표

참고문헌

1.

곽건홍. (2011). 기록관 체제 재검토. 기록학연구, (27), 3-33.

2.

국가기록원. (2009). 2009 년도 직접관리대상 공공기관 기록관리현황 시범평가 결과:국가기록원.

3.

국가기록원. (2013). 2014 년도 기록관리 평가계획:국가기록원.

4.

국가기록원. (2014). 2014 년도 기록관리 평가결과:국가기록원.

5.

국가기록원. (2015). 2015 년도 기록관리 평가계획:국가기록원.

6.

김동희. (2007). 행정법 II. 제 13 판:박영사.

7.

김민철. (2007). 공공기관의 지식관리시스템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J 광역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2), 1-28.

8.

김지영. (2010). 현안분석 : 경영평가제도와 공기업의 수익성. 재정포럼, 172, 26-46.

9.

김지현. (2013). 국가기록원 직접관리기관 공기업의 기록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3), 73-97.

10.

김초롱. (2014). 대학기록관에서의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도입에 관한 연구 : ISO 30301을 중심으로.

11.

김효근. (2001). 조직의 지식경영 준비도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2(1), 45-63.

12.

김효선. (2014).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인증제도의 도입방안 연구.

13.

류가현. (2012). ISO 30300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시리즈 적용에 따른 기대효과 : K 공기업을 중심으로.

14.

박민선. (2011). 정부산하 공공기관 기록물관리의 경영성과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15.

서도원. (2006). 지식경영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기업규모 및 업종별 비교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7(2), 69-96.

16.

유미년. (2012). 공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공공성 및 수익성을 중심으로.

17.

이건창. (2002). KMPI: 지식경영 성과지표의 실증적 분석에 관한 연구 -코스닥(KOSDAQ)에 상장된 벤쳐기업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31(3), 1-601.

18.

이영호. (2014). 공기업 경영평가지표를 대상으로 공공성평가와 기업성평가의 상관관계 실증분석.

19.

정수영. (2000). 경영학대사전:박영사.

20.

조송암. (2009).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소개 및 인증제도에 대한 국내 대응 (-). 국제기록경영시스템표준 컨퍼런스. 63 빌딩.

21.

조송암. (2012).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소개 1 편 도입배경. http://www.dims.co.kr/activities/column.php.

22.

조송암. (2012).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요구사항 개수 분석 연구. http://www.dims.co.kr/activities/column_view.php?idx=606&curr_page=1&code=B&no=2.

23.

Andolsen, A. A.. (2007). Does Your RIM Program Need a Strategic Alignment?.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41(4), 35-40.

24.

Alavi, M.. (2001). Knowledge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MIS Quarterly, 25(1), 107-136.

25.

APQC. (1996). Knowledge Management Consortium Benchmarking Study:American Reductivity and Quality Center.

26.

Bustelo, C.. Better Records=Better Business. Using Iso 30300 in the Strategic Management of Your Organization.

27.

Bustelo, C.. (2011). What is ISO 30300? Who, When Where, Why and How to Implement. http://www.iso30300.es/wp-content/uploads/2011/12/Innovadoc2011_JEllisCBustelo.pdf.

28.

Dahl, R. A.. (1953). Politics, Economics, and Welfare:Harpercollins.

29.

de Jager, Martha. (1999). The KMAT : Benchmarking Knowledge Management. Library Management, 20(7), 367-372.

30.

Ellis, Judith. (2009). Better Records-Better Business (-).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Management System Standards for Records.

31.

International Management Records Trust(IMRT). (2009). Glossary of Term:International Management Records Trust.

32.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 Technology(NIST). (2012). 2011-2012 Criteria for Performance Excellence. NIST.

33.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 Technology(NIST). (2014). 2013-2014 Criteria for Performance Excellence. NIST.

34.

Nonaka, I.. (1995).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Oxford University Press.

35.

Robson, W. A.. (1960). Nationalized Industy and Public Ownership:George Allen and Unwin.

36.

Turban, E.. (2003). Introduction to Information Technology:John Wiley & Sons, Inc..

37.

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

38.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

39.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

40.

지방공기업법률.

41.

KS X ISO 30300: 2013, 문헌정보 - 기록경영시스템 - 기본사항 및 용어.

42.

KS X ISO 30301: 2013, 문헌정보 - 기록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43.

KS X ISO 15489-1: 2012, 문헌정보 - 기록관리 - 제 1 부 : 일반사항.

44.

ISO 30300: 201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Management Systems for Records -Fundamentals and Vocabulary.

45.

ISO 30301: 201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Management Systems for Records -Requirement.

46.

ISO 15489-1: 200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Records Management - Part 1: General.

47.

ISO/IEC Guide 72:2001. Guideline for the jus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Management System Standard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