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중앙기관과 지방기관의 정보공개심의회 운영과 정보공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Deliberative Committees between the Central Agency and the Local Agency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4, v.14 no.3, pp.83-103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3.083
최정민 (서강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중앙기관과 지방기관 간의 정보공개심의회 운영과 심의회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방기관은 중앙기관에 비해 대면회의의 개최 빈도가 높고 외부위원이 더 많이 구성된 심의회의 개최가 많아 더 바람직한 형태의 심의회를 운영하였으나, 심의회 결과는 상대적으로 차이가 덜 하였다. 둘째, 중앙기관과 지방기관 간의 심의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중앙기관의 심의회는 회의형태에, 지방기관의 심의회는 위원구성에 따라 심의회 결과에 차이가 나타났다. 섯째, 중앙기관의 심의회는 정치적 환경으로서 참여정부에서 이명박 정부로의 교체에 따른 회의형태와 심의회 결과에 큰 차이가 있었으나 지방기관은 특별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중앙기관과 지방기관의 심의회 운영과 결과는 차이가 있으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정보공개심의회, 행정정보공개,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정부위원회, Information Disclosure Deliberative Committe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Participation Government, Lee Myung Bak Government, Government Committees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difference in the management and rulings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deliberative committees (IDDCs) is between the central agency and the local agency. This study found that first, the IDDC of the local agency had a more desirable meeting format and committee composition than that of the central agency. However, there were less differences in the IDCC rulings between the two agencies. Second, the IDDCs of the central agency and the local agency were influenced by different factors. Third, the change of the political regime strongly influenced the IDDCs meeting format and rulings in the central government. However, it rarely influenced the IDDCs of the local government. A compar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anagement and rulings of the IDDCs between the central agency and the local agency. With these finding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IDDCs of the two agencies need to be approached differently.

keywords
정보공개심의회, 행정정보공개,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정부위원회, Information Disclosure Deliberative Committe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Participation Government, Lee Myung Bak Government, Government Committees

참고문헌

1.

김승태. (2005). 미니포럼 : 행정정보공개제도의 운영실태 평가 및 개선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

김승태. (2006). 행정정보공개제도의 집행요인 및 정책효과 분석:한국학술정보.

3.

김정해. (2007). 정부위원회의 운영 및 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현대사회와 행정, 17(2), 173-204.

4.

김주환. (2005). 정책결정에 있어서 위원회의 활용 분석: 청계천 복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4(3), 1-30.

5.

김철. (2003). 정부위원회 제도 정비의 정치경제학: 정부위원회 조직 개혁의 분석과 평가 (331-353). 서울행정학회 2003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6.

김호섭. (2004). 국정과제위원회: 실태, 미지의 성과, 그리고 과제. 한국조직학회보, 1(2), 57-80.

7.

박돌봉. (2006). 지방자치단체 행정정보공개제도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8.

박동서. (1996). 한국행정론:법문사.

9.

박석희. (2004). 합의제 행정기관 현황분석과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42(4), 163-187.

10.

박성민. (2003). 주민참여기제로서의 위원회 연구 - 관악구 교통불편민원실무심의위원회와 마을버스노선조정심사위원회의 사례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5(3), 99-123.

11.

박종관. (2004). 지방정부 정보 공개제도에 대한 인식과 과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2), 447-467.

12.

성도경. (2001). 행정정보공개제도의 효율적 추진의 영향요인 분석 : 대구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2(2), 281-294.

13.

안병철. (2009). 정부관료제의 정보공개행태 분석 - 43개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2002-2007)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6(3), 133-160.

14.

안성민. (2000). 정부위원회의 여성참여와 정책결정 (1-16). 한국행정학회 2000년도 기획세미나․국제포럼발표논문집.

15.

안전행정부. (2011). 2010년 정보공개연차보고서. 안전행정부.

16.

안전행정부. (2012). 2012년도 정보공개연차보고서. 안전행정부.

17.

우정수. (2009). 기초자치단체 행정정보공개에 관한 연구 : 수요자 및 공급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18.

이명진. (2010). 공공기관의 조직적 특성과 정보공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4(1), 121-146.

19.

이보람. (2013). 정보공개제도에서 공개 기록정보의 제도적 신뢰성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5), 41-91.

20.

이승종. (1995). 행정정보공개조례의 효과에 대한 공무원의 평가분석 : 청주시 사례연구. 한국행정학보, 29(4), 1275-1289.

21.

이용정. (1999). 행정기관의 정보공개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2.

이재완. (2013). 지방정부의 행정정보공개에 관한 연구 : 정보공개와 수용을 중심으로.

23.

임진희. (2010). 정보공개에 대응한 공무원의 업무정보 제공행동 연구. 기록학연구, (23), 179-225.

24.

장지원. (2004). 행정정보공개의 관련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행정연구, 13(1), 170-202.

25.

전영평. (2005). 지방정부위원회 운영의 비판적 고찰-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17(1), 241-271.

26.

정광호. (2008). 정보공개제도가 항생제 처방에 미친 영향: 서울시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6(1), 123-150.

27.

정홍익. (1991). 기고논문 : 위원회제도를 중심으로 한 시민참여의 활성화. 한국행정학보, 25(2), 437-464.

28.

조선일. (2004). 기초자치단체 인사위원회제도 운영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3), 139-160.

29.

조영삼. (2009). 기록정보공개 제도 개선 추진 현황과 방안. 기록학연구, (22), 77-114.

30.

최무현. (2008). 정부위원회 인적 특성과 정책 효과성: 대표성과 전문성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6(2), 25-51.

31.

최정민. (2013). 관료의 정보공개행태 영향 요인 연구.

32.

최정민. (2013). 국내 정보공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73-197. http://dx.doi.org/10.14404/JKSARM.2013.13.3.173.

33.

Benniers, Klaas J. (2004). On the Composition of Committees. The Journal of Law, Economics, & Organization, 20(2), 353-378.

34.

Karty, Kevin D. (2005). Membershiop Balance, Open Meetings, and Effectiveness in Federal Advisory Committees.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stration, 35(4), 414-443.

35.

Lynn, Frances M. (1995). Citizen Advisory Committees and Environmental Policy: What We Know, What's Left to Discover. Risk Analysis, 15(2), 147-162.

36.

Mehra, Achael. (1986). Free Flow of Information: A New Paradigm:Greenwood Press.

37.

Rosen, E. D. (1993). Improving Public Sector Productivity: Concepts and Practice:Sage Publications.

38.

Schneider, Sanudra K. (1987). Influences on State Professional Licensure Policy.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7(6), 479-484.

39.

Seidman. (1998). Politics, Position, and Power: the dynamics of federal organization:Oxford University Press.

40.

정보공개시스템. (2011). 정보공개시스템. http://www.open.go.kr/.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