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기록 전문직 양성 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a New Direction for Archival Education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0, v.10 no.1, pp.99-118
https://doi.org/10.14404/JKSARM.2010.10.1.099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기록 전문직의 지식 범주에 관해 외국의 지침서를 먼저 살펴보고 이와 함께 국내 기록 전문직 양성 프로그램과 교과과정을 비교해보았다. 그리고 국외 기록 전문직의 양성 사례를 4개국을 중심으로 짚어본 후, 기록 전문직 양성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록 전문직 양성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으로 전문성을 개발해 줄 수 있는 대학원 교육의 강화, 다양한 학문의 참여와 시도를 통한 다학문적 교과목의 개발 및 확대, 기록관리 지식이 균형 있게 짜인 교과과정 편성, 이수 학점의 상향 조정, 기록관리학 전공의 박사학위를 소지한 전임 교원의 충원, 실무와 연구 지식범주의 교과목 강화, 기록관리학 표준교과과정의 개발과 기록 전문직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기관, 기록관리 전문 학․협회, 기록 관련 기관 간의 파트너십 형성과 적극적인 활동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rchival profession, archivists, archival education, archival knowledge, archival curriculum, archival programs, 기록전문직, 기록관리교육, 기록관리 지식범주, 기록관리 교육과정, 기록관리 교육프로그램, archival profession, archivists, archival education, archival knowledge, archival curriculum, archival programs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core domains of archival knowledge based upon two guidelines from foreign countries, and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archival education programs and curriculum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Based upon the analysis, several new directions for archival education in Korea are suggested as follows: strengthening the archival graduate programs for archival profession, developing and expanding interdisciplinary courses based upon participation and trial of various related disciplines, increment of graduate credits, hiring of the Ph. D. full-time faculty in archival studies, strengthening internship and research courses, developing a standard curriculum for archival educ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s and partnerships among archival graduate schools, professional archival societies, and archival related institutions.

keywords
archival profession, archivists, archival education, archival knowledge, archival curriculum, archival programs, 기록전문직, 기록관리교육, 기록관리 지식범주, 기록관리 교육과정, 기록관리 교육프로그램, archival profession, archivists, archival education, archival knowledge, archival curriculum, archival programs

참고문헌

1.

김기석. (1999). 기록과학과 기록관리전문가: 책임과 사명 및 양성 (55-78).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창립기념 심포지엄.

2.

김상호. (1998). 한국기록보존사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도서관학논집, 28, 39-59.

3.

김순희. (2009). 기록관리 전문가의 실무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71-293.

4.

김영애. (2000). 독일의 아키비스트 양성제도. 기록학연구, 2(2), 95-130.

5.

김용원. (2001). 기록관리학의 발전을 위한 교육과정연구: 駿河臺대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 69-94.

6.

김익한. (2003). 전문요원제도와 기록관리 교육의 질적 제고. 기록학연구, (7호), 129-148.

7.

김정하. (2001). 기록관리전문가의 양성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이탈리아의 기록관리학 전통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 201-230.

8.

김태수. (1999). 기록관리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 (43-63). 한국기록보존협회 제1회 워크숍 자료집.

9.

이상민. (1998). 기록관리학과 아키비스트 교육훈련제도. 기록보존, 11, 109-141.

10.

이승휘. (2000). 중국의 아키비스트 양성제도: 중국인민대학 당안학원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1), 189-217.

11.

정연경. (2002). 캐나다의 기록학 대학원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4), -.

12.

정연경. (2002). 미국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4), 101-122.

13.

정연경. (2003). 기록학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비교 연구-한국과 북미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1), 81-100.

14.

정연경. (2003). 미국의 기록관리학 지식 범주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3(2), 33-50.

15.

정연경. (2005). 한국과 미국의 대학원 기록관리학 교과과정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 5-25.

16.

최정태. (2000). 기록관리학, 그 교육의 향방: 신설 9개 대학원 교과과정을 보면서. 기록학연구, 2(1), 169-193.

17.

최정태. (2001). 기록관리학 정립과 기록전문가 양성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 95-129.

18.

한복희. (1994). 기록보존학 연구의 개선방향: 기록보존소에 관한 계속교육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기록보존, 7, 7-35.

19.

Academy of Certified Archivists. Handbook For Archival Certification [online]. http://www.certifiedarchivists.org.

20.

Cook, Sharon Anne. (1997). Connecting archives and the classroom. Archivaria, 44, 102-117.

21.

Couture, Carol. (1996). Today's students, to morrow's archivists: present-day focus and development as determinants of archival science in the twenty-first century. Archivaria, 42, 95-104.

22.

Cox, Richard J.. (1988). Educating archivists: speculations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JASIS, 39(5), 340-343.

23.

Cox, Richard J.. (2001). Archival education in North Americ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chool. Library Quarterly, 71, 141-194.

24.

Cox, Richard J.. (2008). iSchools and archival studies. Archival Science, 8(4), 307-326.

25.

Craig, Barbara Lazenby. (1996). Serving the truth: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rchives research in education programmes, including a modest proposal for partnerships with the workplace. Archivaria, 42, 105-117.

26.

Ericson, Timothy L.. (1993). Abolish the recent: the progress of archival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4, 25-37.

27.

Eastwood, Terry. (1983). The origins and aims of the master of archival studies programme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Archivaria, 16, 35-52.

28.

Eastwood, Terry. (2000). Archival research: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experience. American Archivist, 63, 243-257.

29.

Gilliand-Swetland, Anne J.. (2000). Archival research: a ‘new' issue for graduate education. American Archivist, 63, 258-270.

30.

Jimerson, Randall C.. (2001). Graduate archival education at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OCLC Systems & Services, 17, 157-165.

31.

Klumpenhouwer, Richard. (1995). The MAS and after: transubstantiating theory and practice into an archival culture. Archivaria, 39, 88-95.

32.

Nesmith, Tom. (2007). What is an archival education?.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8(1), 1-17.

33.

Pemberton, J. Michael. (1995). Information studies: emerging fields, convergent curriculum.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 126-138.

34.

Schaeffer, Roy. (1994). From graft to profession: the evolution of archival education and theory in North America. Archivaria, 37, 21-34.

35.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online]. http://www.archivists.org/prof-education/ed_guidelines.asp.

36.

Wosh, Peter J.. (2000). Research and reality checks: change and continuity in NYU's archival management program. American Archivist, 63, 271-283.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