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형사사건기록의 분류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for Criminal Case Fil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0, v.10 no.1, pp.169-197
https://doi.org/10.14404/JKSARM.2010.10.1.169
이현정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형사사건기록의 분류방안을 마련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형사사건기록의 유형 및 특성을 파악하여 형사사건기록이 사안파일의 한 유형임을 밝히고, 이후 현재 검찰청에서 형사사건기록의 분류 현황 및 문제점을 짚어 보았다. 새로운 형사사건기록의 분류원칙으로 사건단위별 분류를 기본으로 하되, 업무절차에 따른 단계별 분류체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형사사건기록이 전자기록 관리체계로 전환되었을 경우의 분류체계로서, 단계별 분류체계에 대한 개념은 MoReq 2의 Workflow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keywords
criminal case file, case file, classification, MoReq 2, Workflow, 형사사건기록, 사안파일, 분류, MoReq 2, Workflow, criminal case file, case file, classification, MoReq 2, Workflow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fferent classification method for keeping a record of cases. After proving that criminal case files should be counted as one type of case file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analyzes the current process of criminal case filling at Public Prosecutor's Office to point out som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a new classification system: at first, each case gets classified based on a case: secondary, the data gets further assorted by the chronological procedures. The classification approach, which is adopted from MoReq 2's Workflow method, is more adjustable to the new electronic filing system.

keywords
criminal case file, case file, classification, MoReq 2, Workflow, 형사사건기록, 사안파일, 분류, MoReq 2, Workflow, criminal case file, case file, classification, MoReq 2, Workflow

참고문헌

1.

마원준. (2003). 한국 個교회기록의 기능분류 방안.

2.

설문원. (2003). 조선총독부 기록물을 위한 기능분류체계 개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1), 457-488.

3.

위재민. (2010). 형사절차론:사법연수원.

4.

이승휘. (2002). 중국의 혁명역사기록물의목록기술과 검색분류. 기록학연구, (5호), 209-253.

5.

이영숙. (2005). 시민단체 기록 분류방안 연구: 환경연합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 73-101.

6.

이원영. (2000). 기록물분류의 원리: 문헌분류와의 비교. 기록학연구, 2, 103-128.

7.

이재상. (2009). 신형사소송법(제2판):박영사.

8.

이효선. (2003). 전문상담기관의 기록관리 방안 연구.

9.

정지혜. (2010). 케이스 관리 방안 연구: 행정심판기록을 중심으로.

10.

최관식. (2006). 업무기능에 기반한 기록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57-85.

11.

통합사법체계구축기획단. (2007). 업무현황분석 보고서. 통합사법체계구축기획단.

12.

EU Serco Consulting. MoReq(Model Requirements for the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2.

13.

ICA. (2003). 법률기록물관리:진리탐구.

14.

Library and Archives Canada. MIDA(Multi-Institutional Records Disposition Authority) for Operational Case File Records(정지혜 2009, 18-21 재인용).

15.

Michigan Trial Court File Management Standards Committee. (2008). Michigan Trial Court Case File Management Standards. Michigan Supreme Court.

16.

Miller, Fredric. M.. (2002). 아카이브즈와 매뉴스크립트의 정리와 기술(Arranging and Describing Archives and Manuscripts):진리탐구.

17.

Schellenberg, Theodore R.. (2002). 현대 기록학개론(Modern Archives):진리탐구.

18.

Shepherd, Elizabeth. (2003). Managing Records: a Handbook of Princilples and Practice:Facet Publishing.

19.

Yeo, Geoffrery. (2003). 병원기록물 관리(Managing Hospital Records):진리탐구.

20.

형사소송법.

21.

검찰청법.

22.

사법경찰관리집무규칙.

23.

검찰보존사무규칙.

24.

검찰사건사무규칙.

25.

영구(준영구)보존할 중요사건기록 등의 선정 및 관리 지침.

한국기록관리학회지